도큐 메구로선은 도쿄 급행 전철의 철도 노선으로, 메구로역에서 가나가와현 히요시역까지 운행한다. 2000년 메카마 선의 메구로-덴엔초후 구간을 분리하여 개통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도영 지하철 미타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사가미 철도와 상호 직통 운전을 한다. 급행과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되며, 2023년 3월부터 소테츠선과의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도요코선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 시부야역에서 요코하마역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서부 교통망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충북선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화물 수송과 무궁화호 운행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고속화 사업을 통해 KTX-이음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오지 검차구(도쿄 메트로 차량) 시무라 차량 검수 공장(도영 차량) 우라와미소노 차량기지(사이타마 고속 철도 차량) 가시와다이 차량 센터(소테츠 차량)
사용 차량
사용 차량 항목 참고
노선 길이
11.9 km
궤간
1,067 mm
선로 수
복선
전철화 방식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폐색 방식
차내 신호 폐색식
보안 장치
ATC-P
최고 속도
110 km/h
일일 승차량 (2018년)
388,982명
지도 색상
하늘색
도쿄 급행전철 메구로선 노선도
2. 역사
2000년8월 6일, 메카마 선의 메구로~덴엔초후 구간이 '''메구로선'''으로 분리되고, 1인 승무가 시작되었다.[3] 같은 해 9월 26일부터는 난보쿠선 및 미타선과 직통 운전을 시작했으며,[3]2001년3월 28일부터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와 난보쿠선 간 상호 직통 운전 개시에 따라, 메구로선도 난보쿠선을 경유하여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3]
1923년 3월 11일, 메구로선이 메구로 - 마루코(현재 누마베) 구간에서 개통되었다.[1] 같은 해 10월, 메구로후도마에역이 후도마에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23년 11월 1일에는 마루코 - 가마타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명은 메카마선으로 변경되었다.[1]
2000년 8월 6일, 메카마선에서 메구로 - 덴엔초후 구간이 분리되어 메구로선으로 개칭되었다. 운행 계통상으로는 직통 운전을 하는 도요코선 덴엔초후 - 무사시코스기 구간과 함께 메구로선으로 불리게 되었고, 동시에 다마가와엔역이 다마가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1인 승무(원맨 운전)가 시작되었다.[2][3] 같은 해 9월 26일, 난보쿠선 및 미타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3]
2. 2. 메구로선 분리 및 현대화 (2000년 이후)
2000년8월 6일 메카마 선의 메구로~덴엔초후 구간을 '''메구로선'''으로 분리하고, 1인 승무를 개시하였다.[3] 같은 해 9월 26일부터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및 도쿄 도영 지하철 미타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으며,[3]2001년3월 28일부터는 사이타마 고속철도 개업 및 동 노선과 난보쿠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 개시에 따라, 본 노선도 난보쿠선을 경유하여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3]
2006년9월 25일에는 급행 운행을 개시하였다.[3]메구로역에서 무사시코스기역까지의 낮 시간대 소요 시간은 각역 정차 시 17분에서 급행 13분으로 단축되었다.
본 노선의 대부분은 도로와 입체 교차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널목은 오오카야마역 - 오쿠사와역 구간에 4곳, 오쿠사와역 - 덴엔초후역 구간에 2곳, 총 6곳뿐이다. 덴엔초후역에서는 도요코선의 복복선 안쪽 2선을 지나, 동선과 병주하여 히요시역에 이른다.
히요시역에서는 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신요코하마역 및 소테츠선과, 메구로역에서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직결 계통과 도영 지하철 미타선 직결 계통의 지하철 노선과 상호 직결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두 지하철 직결 계통 모두 시로카네다이역·시로카네타카나와역까지는 동일한 경로를 주행한다. 도쿄 메트로와 도영 지하철의 2개 지하철 사업자 노선에 직접 직결하는 것은 간토 대형 사철에서는 메구로선뿐이다.[23][24]
영업 운전되는 열차는 20m 차량 6량 편성 및 8량 편성이다. 모든 역에 홈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맨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에는 정위치 정지 장치 (TASC) 가 탑재되어 있고[25], 역 구내와 그 앞에는 TASC의 위치 보정용과 정위치 정지용 지상자가 설치되어 있어, 역 정차 시에는 TASC에 의한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또한, 차량에는 홈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영상을 밀리파 대역 전파로 송신하여 선두차에 탑재된 수신기로 수신 후, 운전대 상부에 설치된 차상 ITV (차상 모니터 화면) 로 볼 수 있는 장비가 있어 문 개폐 시 감시에 사용된다.[26]
오오카야마역을 출발하면 오이마치선과 갈라져 논가와를 따라 형성된 계곡 형태 지형을 수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내리막 경사가 된다. 도쿄 과학대학 부지에 끼인 구역을 굽이쳐 지나, 오른쪽에 오이마치선 미도리가오카역을 바라보고, 오오오카야마 1호 건널목을 지나면 바로 세타가야구에 들어선다. 다시 대지가 나타나 완만한 오르막 경사로 바뀌어 3개 건널목을 지나 오쿠사와역에 도착한다. 상행선에만 통과선이 있어 급행 열차 통과 대기를 한다. 오른쪽에는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오쿠사와 차량기지가 보인다. 도도 426호선과 교차하고, 또 하나의 건널목을 지나 왼쪽으로 크게 커브를 틀어 지하로 들어가 도요코선 하행선을 통과하여 다시 오타구에 진입하여 덴엔초후역에 도착한다. 이 이후는 도요코선과 병주 구간이 되며, 메구로선의 종점인 히요시역에 이르러 도큐 신요코하마선과 연결된다.
2020년도 출근 시간대 최혼잡 구간은 부동산전역 → 메구로역 구간이며, 피크 시간대(7:50 - 8:50) 혼잡률은 '''126%'''이다.[71][72][73] 1989년도에 4량 편성으로 변경된 이후 혼잡률은 150%를 밑돌았으며, 1999년도까지 수송량은 감소 추세였다. 2000년도에 메구로선에서 메구로선으로 분리되어, 난보쿠선·미타선과 직통 운전을 시작한 이후 수송 인원이 증가했다.
최근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차량 수×운전 횟수
수송력: 명
수송량: 명
혼잡률: %
1량 평균 정원
비고
1955년 (쇼와 30년)
중형 3량×17
6,630
11,572
175
134
메구로선
1965년 (쇼와 40년)
중형 3량×20
7,800
16,103
206
130
1970년 (쇼와 45년)
중형 3량×24
8,690
14,173
173
121
1975년 (쇼와 50년)
중형 3량×23
7,521
13,923
185
109
1980년 (쇼와 55년)
중형 3량×24
7,848
13,342
170
109
1985년 (쇼와 60년)
중형 3량×23
7,935
12,951
163
115
1986년 (쇼와 61년)
13,549
171
1987년 (쇼와 62년)
13,422
169
1988년 (쇼와 63년)
13,210
166
1989년 (헤이세이 원년)
중형 4량×19
9,424
12,964
138
124
올 스테인리스 차량화·4량 편성화
1990년 (헤이세이 2년)
13,231
140
1991년 (헤이세이 3년)
13,423
142
1992년 (헤이세이 4년)
13,657
145
1993년 (헤이세이 5년)
12,664
134
1994년 (헤이세이 6년)
12,003
127
1995년 (헤이세이 7년)
11,664
124
1996년 (헤이세이 8년)
11,664
124
1997년 (헤이세이 9년)
10,934
116
1998년 (헤이세이 10년)
10,874
115
1999년 (헤이세이 11년)
10,245
109
2000년 (헤이세이 12년)
대형 6량×15
12,720
17,691
139
141
8월 6일, 메구로선 개업 (9월 26일, 난보쿠선·미타선과 직통 운전 개시. 2001년 3월 28일 사이타마 고속철도와 직통 운전 개시)
2018년 3월 30일 다이어 개정 후에는 하토가야역 발착의 일부 열차가 아카바네이와부치역 발착이 되었다. 선내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모두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에이 지하철 미타선에 직통한다. 이전에는 거의 모든 열차가 무사시코야마역에서 각역정차와 연결되었지만, 2023년 3월 18일 개정으로 평일 아침 상행은 원칙적으로 오쿠사와역에서 추월로 변경되었다(일부 열차는 양쪽 모두 실행하여 각역정차를 2편 추월한다).
대다수 열차는 소테츠 본선 내 또는 신요코하마역 발착이지만, 아침, 저녁의 일부 열차는 히요시역, 무사시코스기역 발착이다. 그 외에도 미타선 다카시마다이라역 발착 열차와 난보쿠선 오지카미야역행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운행되는 난보쿠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미타선은 메구로 방면만 "급행" 표시를 하고, 우라와미소노역・니시타카시마다이라역 방면에서는 "각역" 또는 "각역정차" 표시가 된다.
하지만 연결 열차로서는 공식적으로 안내하지 않았으며, 어느 한쪽이 늦으면 연결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 후,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부터, 도요코선과 메구로선 병주 구간에서 도착 시각을 의도적으로 늦추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도요코 특급(F라이너)과 메구로선 급행 연결은 없어졌을 뿐만 아니라, 시로카네타카나와역 시발 종착 열차와 연결 열차도 되지 않는다.
2004년부터 특정일에 우라와미소노역과 다카시마다이라역에서 모토마치·주카가이역까지 임시 열차 "미나토미라이호"가 운행되었다. 2006년 8월 운행분까지는 도큐 도요코선과 미나토미라이선 내에서만 급행 운전을 했지만, 같은 해 12월 운행분부터 도큐 메구로선 내에서도 급행 운전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이후에는 설정되지 않았다.
2006년 8월 운행분까지는 종착역인 무사시코스기역에서 도큐 도요코선으로 전선했지만, 같은 해 12월 운행분부터 무사시코스기역 - 히요시역 간 복복선(고가)화 공사 영향으로 무사시코스기역에서 전선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덴엔초후역에서 전선하게 되었다. 이후 도큐 메구로선이 히요시역으로 연장된 2008년 7월 운행분부터 히요시역에서 전선으로 변경되었지만, 2011년 운행에서는 다시 덴엔초후역에서 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각역정차는 모든 환승 노선을 포함한 각 역에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무사시코야마역에서 급행과 연결되며, 오쿠사와역에서 대피하는 열차도 있다. 종일 히요시역에서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에이 지하철 미타선으로 직결 운행(난보쿠선 직결 중 매시 2개는 신요코하마역 발착)하지만,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신요코하마역 발착 열차 및 소테츠 본선 직결 열차가, 새벽과 심야를 중심으로 오쿠사와역・무사시코스기역 발착 구간 열차가 몇 편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일부 열차는 메구로역 - 히요시역 간만 운전하는 구간 운행이 된다.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업과 동시에 새벽에 무사시코야마역 시발 히요시 방면이 설정되었다. 또한, 신요코하마역 주변 닛산 스타디움이나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대규모 이벤트가 개최될 때에는 미타선 계통을 중심으로 신요코하마역까지 연장 운행된다.[70]
미나토미라이호는 2006년 8월 운행분까지 각역 정차로 운행했다.
각역정차는 풀 컬러 LED는 청색, 3색 LED는 녹색으로 표기된다.
열차가 어떤 차량으로 운행되는지는 열차 번호 마지막 알파벳으로 구분하며, 'K'는 도큐 차량(01K - 48K), 'T'는 도영 지하철 차량(21T - 89T 홀수 번호), 'S'는 도쿄 메트로 차량(30S - 70S 짝수 번호), 'M'은 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80M - 96M 짝수 번호), 'G'는 소테츠 차량(31G - 43G)이다.[68] 열차 번호는 『MY LINE 도쿄 시각표』(교통신문사) 열차 번호 란에도 게재되어 있다.
또한 6자리 숫자로 표기되는 메구로선 내 열차 번호에서는 상위 1자리가 차량 소속을 나타내며, 2는 도큐 차량, 3은 도쿄 메트로 차량, 4는 도영 지하철 차량, 5는 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 6은 소테츠 차량이다. 다음 상위 2자리가 운용 번호를 나타낸다(예: "01K"의 경우 메구로선 내에서는 "201"이 된다).
과거에는 미타선 운용과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운용으로 별도 편성되었지만,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에는 소테츠선 내 회차로 번호를 전환하여 양쪽 운행되는 운용도 설정되어 있으며, 홀수 번호와 홀수 번호 +1 짝수 번호(예: 01K와 02K)가 동일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부 운용 번호가 결번으로 되어 있다.
각 사업자 간 주행 거리 조정 관계상, 도큐차 및 소테츠차는 메구로선에 운행하지 않는 열차(시로카네타카나와 회차 등)나, 도큐차는 운행 구역 외가 되는 소테츠 본선 니시야역 - 요코하마역 간에서도 사용되고 있다(후자는 도요코선 차량과 함께 운용).
2000년9월 26일부터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및 도쿄 도영 지하철 미타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으며, 2001년3월 28일부터는 사이타마 고속철도 개업 및 동 노선과 난보쿠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 개시에 따라, 본 노선도 난보쿠선을 경유하여 사이타마 고속철도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29]
2023년3월 18일부터 도큐 신요코하마선이 개통하여 신요코하마역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37][38] 평일 아침 혼잡 시간대에는 각역 정차 및 급행 열차 매시 11편 중 5편이 신요코하마역 시발이며, 낮 시간대에는 급행 열차 매시 4편 중 2편이 신요코하마역 시발로, 해당 노선을 통해 사가미 철도로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메구로선으로부터의 직통 운전은 낮 시간대에는 소테츠 본선에비나역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니시야역, 소테츠 본선 후타마타가와역(발차만)・야마토역(착차만), 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 발착이 설정되어 있다.[39][40][41][42]
열차 운행에 사용되는 차량은 열차 번호 마지막 알파벳으로 구분하며, 'K'는 도큐 차량, 'T'는 도영 지하철 차량, 'S'는 도쿄 메트로 차량, 'M'은 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 'G'는 소테츠 차량이다.[68]
메구로역 - 히요시역 간 소요 시간은 최단 16분이다. 낮 시간에는 1시간에 4편 운행되며, 이 중 1편은 신요코하마역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우라와미소노역 간, 1편은 신요코하마역 - 난보쿠선 아카바네이와부치역 간[69], 2편은 소테츠선・에비나역 - 도영 미타선 니시타카시마다이라역 간 운행한다. 선내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모두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영 지하철 미타선에 직통한다.
기본적으로 급행은 적색, 각역 정차는 청색(풀 컬러 LED) 또는 녹색(3색 LED)으로 표기된다.
영업 운전되는 열차는 20m 차량 6량 편성 및 8량 편성이다. 모든 역에는 홈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사가 열차 운전과 문 개폐를 하는 원맨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에는 정위치 정지 장치 (TASC)가 탑재되어[25] 역 정차 시 TASC에 의한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또한, 차상 ITV (차상 모니터 화면)를 운전대 상부에 장비하여 문 개폐 시 감시에 사용한다.[26]
어떤 열차가 어떤 차량으로 운행되는지는 열차 번호 마지막 알파벳으로 구분한다.
알파벳
차량
K
도큐 차량(01K - 48K)
T
도영 지하철 차량(21T - 89T의 홀수 번호)
S
도쿄 메트로 차량(30S - 70S의 짝수 번호)
M
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80M - 96M의 짝수 번호)
G
소테츠 차량(31G - 43G)[68]
열차 번호는 『MY LINE 도쿄 시각표』(교통신문사)의 열차 번호 란에도 게재되어 있다.
6자리 숫자로 표기되는 메구로선 내 열차 번호에서 상위 1자리는 차량 소속(2는 도큐, 3은 도쿄 메트로, 4는 도영 지하철, 5는 사이타마 고속철도, 6은 소테츠 차량), 상위 2자리는 운용 번호를 나타낸다.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 소테츠선 내 회차로 번호를 전환하여 양쪽에 운행되는 운용도 설정되어, 홀수 번호와 홀수 번호 +1의 짝수 번호가 동일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일부 운용 번호는 결번이다.
각 사업자 간 주행 거리 조정 관계상, 도큐 및 소테츠 차량은 메구로선에 운행하지 않는 열차나 도큐 차량은 운행 구역 외 구간에서도 사용된다.
어떤 열차가 어떤 차량으로 운행되는지는 열차 번호 마지막 알파벳으로 구분하며, 'K'는 도큐 차량(01K - 48K)이다. 열차 번호는 『MY LINE 도쿄 시각표』(교통신문사)의 열차 번호 란에도 게재되어 있다. 메구로선 내 열차 번호는 6자리의 숫자로 표기되며, 상위 1자리는 차량 소속(2는 도큐 차량), 상위 2자리는 운용 번호(예: "01K"는 "201")를 나타낸다.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 소테츠선 내 회차로 번호가 전환되어 양쪽에 운행되는 운용도 설정되었다. 홀수 번호와 홀수 번호 +1의 짝수 번호(예: 01K와 02K)는 동일 차량으로 운행되며, 일부 운용 번호는 결번이다.
도큐 차량은 각 사업자 간 주행 거리 조정 관계상 메구로선에 운행하지 않는 열차(시로카네타카나와 회차 등)나 운행 구역 외인 소테츠 본선 니시야역 - 요코하마역 간에서도 사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